spring security 관련 사이트
http://preludeb.egloos.com/v/4738521
로그인 강제 주입(수동처리)
Object principal = memberDetailService.loadUserByUsername("");
SecurityContextHolder.getContext().setAuthentication(new UsernamePasswordAuthenticationToken(principal, null, ((UserDetails) principal).getAuthorities()));
http://memo.polypia.net/archives/1593
2018년 5월 29일 화요일
2018년 5월 15일 화요일
@RequestBody , @ResponseBody 역할
웹 서비스와 REST 방식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로 자리 잡으면서 웹 시스템간에 XML이나 JSON 등의 형식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스프링 MVC도 클라이언트에서 전송한 XML 데이터나 JSON 또는 기타 데이터를 컨트롤러에서 DOM 객체나 자바 객체로 변환해서 받을 수있는 기능(수신)을 제공하고 있으며,
비슷하게 자바 객체를 XML이나 JSON 또는 기타 형식으로 변환해서 전송할 수 있는 기능(송신)을 제공하고 있다.
@RequestBody 어노테이션과 @ResponseBody 어노테이션은 각각 HTTP 요청 몸체를 자바 객체로 변환하고 자바 객체를 HTTP 응답 몸체로 변환하는 데 사용된다.
@RequestBody 어노테이션을 이용하면 HTTP 요청 몸체를 자바 객체로 전달받을 수 있다. 비슷하게 @ResponseBody 어노테이션을 이용하면 자바 객체를 HTTP 응답 몸체로 전송할 수 있다.
출처: https://devbox.tistory.com/entry/Spring-RequestBody-어노테이션과-ReponseBody-어노테이션의-
http://devbox.tistory.com/entry/Spring-RequestBody-%EC%96%B4%EB%85%B8%ED%85%8C%EC%9D%B4%EC%85%98%EA%B3%BC-ReponseBody-%EC%96%B4%EB%85%B8%ED%85%8C%EC%9D%B4%EC%85%98%EC%9D%98-%EC%82%AC%EC%9A%A9
2018년 5월 4일 금요일
javascript object data do push or get
1. 배열 선언시 대괄호[] 사용
var array = [];
2. OBJECT 선언시 중괄호 {} 사용
var
person = {
name :
"neko"
,
gender :
"male"
};
console.log( person.name, person.gender );
// 결과 : neko male
var
key1 =
'name'
, key2 =
'gender'
;
console.log( person[key1], person[key2] );
// 결과 : neko male
// 위와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피드 구독하기:
글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