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hankk20&logNo=70024683960
2020년 12월 9일 수요일
2020년 9월 9일 수요일
input box enter 자동 submit 될때
input box가 form 내부의 입력 을 받는 컴포넌트이므로 엔터키를 누를 경우 form을 서버에 전송하려고 한다. 그런데 form에 action 속성값이 있으면 해당 action을 수행하지만 action 속성값이 없다면 자기자신(페이지)을 다시 불러와서 리프레쉬된다. |
원인이 위와 같다면 해결책은 간단합니다.
엔터키가 들어왔을 경우 실행해야할 함수 뒤에 return false;를
추가하여 더 이상의 작업을 막는 것이죠.
소스를 다음과 같이 수정하여 해결하였습니다.
<input type="text" id="test" name="test" size=15 maxlength="14" style="ime-mode:disabled"onKeyPress="if(event.keyCode==13){ onSearch(); return false; }">
2020년 9월 6일 일요일
Jquery :: document.ready() vs window.load() 차이 - vida valiente
https://diaryofgreen.tistory.com/96
우선 알아둬야할 내용 "웹 브라우저의 HTML문서 렌더링 과정"
- 불러오기(Loading)
- 불러오기는 HTTP 모듈 또는 파일시스템으로 전달 받은
리소스 스트림(Resource Stream)을 읽는 과정으로 로더(Loader)가 이 역할을 맡고 있다. - 로더는 단순히 읽는 것이 아니라, 이미 데이터를 읽었는지도 확인하고,
팝업창을 열지 말지, 또는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지를 결정한다.
- 불러오기는 HTTP 모듈 또는 파일시스템으로 전달 받은
- 파싱(Parsing)
- 파싱은 DOM(Document Object Model) 트리를 만드는 과정이다.
- 웹 엔진이 가지고 있는 HTML/XML 파서가 문서를 파싱해서 DOM Tree를 만든다.
- DOM Tree : 내용을 저장하는 트리로 javascript에서 접근하는 DOM객체를 쓸 때 이용됨.
- 렌더링 트리 만들기(Rendering Tree)
- 렌더링 트리 : DOM Tree와는 별도로 그리기 위한 트리가 만들어져야 하는데, 그것이 렌더링 트리다.
(그릴 때 필요없는 head, title, body 태그등이 없음
+ display:none; 처럼 DOM에는 있지만 화면에서는 걸러내야할 것들이 걸러내진 트리)
- 렌더링 트리 : DOM Tree와는 별도로 그리기 위한 트리가 만들어져야 하는데, 그것이 렌더링 트리다.
- CSS 결정
- CSS는 선택자에 따라서 적용되는 태그가 다르기 때문에
모든 CSS 스타일을 분석해 태그에 스타일 규칙이 적용되게 결정한다.
- CSS는 선택자에 따라서 적용되는 태그가 다르기 때문에
- 레이아웃(Layout)
- 렌더링 트리에서 위치나 크기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객체들에게 위치와 크기를 정해주는 과정을 레이아웃이라고 한다.
- 렌더링 트리에서 위치나 크기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 그리기(Painting)
- 렌더링 트리를 탐색하면서 페이지를 그려나간다.
- 렌더링 트리를 탐색하면서 페이지를 그려나간다.
$(document).ready vs $(window).onolad
- $(document).ready 의 호출 시점 : 1~2번 과정이 완료되어 DOM Tree 생성이 완료된 후 호출
- $(window).onolad 의 호출 시점 : 모든 과정이 완료되어, 웹 페이지가 다 구성된 후 호출
출처: https://hahahoho5915.tistory.com/28 [넌 잘하고 있어]
2020년 8월 30일 일요일
2020년 2월 25일 화요일
vscode show only 1 file in tab
By window
1 ctrl+shift+p click
2. enablePreview search
3. false setting
1 ctrl+shift+p click
2. enablePreview search
3. false setting
2020년 2월 23일 일요일
intellij 한글 설정 방법(삽질 후기 )
한글이 안나올 경우
intellij/bin 폴더네 vmoption 변경이나 tomcat 설정 변경 다 필요 없다
그냥
intellij ->help>edit custom vm option -> Dfile.encoding=UTF-8
이것만 하면됨
피드 구독하기:
글 (Atom)